분류 전체보기

·HTTP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강의를 보고 정리하였습니다. URI? URL? URN? 이 익숙한 용어들, 정확히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URL과 URN은 URI에 포함되는 개념입니다.이제 이 헷갈리는 아이들을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 URI란?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말 그대로 리소스를 식별하는 것입니다. 사람을 식별할 때 주민번호로 식별할 수 있듯이, 자원을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을 말합니다. Uniform: 리소스를 식별하는 통일된 방식Resource: URI로 식별 가능한 모든 자원Identifier: 다른 항목과 구분하는 데 필요한 정보 URL이란?URL(Uniform Resource Locator), 말 그대로 리소스가 있는 위치를 지..
·HTTP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강의를 보고 정리하였습니다. 모든 사이트의 IP 주소를 외우는 것은 쉽지 않은 일입니다. IP 주소는 복잡하기 때문이죠. 만약 외웠다고 해도, 어느 순간 변경되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이런 문제들을 해결해 주는 것이 바로 DNS(Domain Name System) ! 입니다. DNS란?각 IP 주소에 도메인 이름을 부여하여 IP 주소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시스템입니다. DNS 서버는 마치 전화번호부 같이 IP 주소와, 이에 해당하는 도메인 이름을 가지고 있습니다.ex) google.com → 200.200.200.2 / tistory.com → 100.100.100.1 DNS 원리클라이언트가 도메인 주소로 DNS 서버에 요청을 보내면,DNS 서버에..
·HTTP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강의를 보고 정리하였습니다. 오늘은 PORT에 대한 글을 짧게 작성해보려고 합니다 ! 저번 포스팅에서 미국에 사는 친구한테 편지를 보낸다는 예시를 들었는데요, 그 친구가 알고 보니 아파트🏢에 살고 있었다고 가정해 봅시다. 그런데 만약 호수를 적지 않은 채로 편지를 보낸다면 어떻게 될까요 ? 집배원 분은 그 편지를 어느 집으로 배달해야 할지 혼란스러우실 겁니다. (실제로는 경비원 같은 곳에 맡기겠지만요 ㅎ) 그렇기 때문에 꼭 호수까지 적어 안전하게 편지가 배달되도록 해야 합니다.  PORT란?컴퓨터 한 대 당 IP 주소 하나가 할당됩니다. 우리는 그 컴퓨터로 게임을 하면서 친구랑 메시지도 하는 등, 동시에 여러 클라이언트와 통신하는 일이 대다수입니다. 그런데..
·HTTP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강의를 보고 정리하였습니다.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는 IP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나온 프로토콜입니다.(IP 프로토콜의 한계가 궁금하신 분들은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 주세요 !) TCP에 대해 알아보기 전, 먼저 인터넷 프로토콜 계층을 살펴보겠습니다.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의 4 계층 인터넷 프로토콜 스택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IP 위에 TCP를 얹어 보완한 느낌이라고 생각하면 될 것 같습니다. 프로토콜 계층강의를 듣고 리마인드 하는 시간을 가지면서 이런 그림들을 직접 그려보는데요, 직접 그린 그림으로 첨부하고 싶지만 .. 저에게는 패드가 없기 때문에 영한님의 자료를 살짝 가져오도록 하겠습니..
·HTTP
'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강의를 보고 정리하였습니다. 영한님의 스프링 MVC 강의를 듣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강의 초반부에 영한님께서 HTTP를 공부한 후에 듣는 것이 좋다고 하셔서, 빠르게 HTTP를 공부해 보려고 합니다. 🤓 인터넷 네트워크란 ?통신할 컴퓨터끼리 가까이 있으면 케이블로 연결해서 쉽게 통신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통신해야 할 컴퓨터끼리 멀리 떨어져 있는 게 보통입니다. 그래서 필요한 것이 바로 인터넷 망입니다. 우리는 이 인터넷 망을 통해 멀리 떨어져 있는 컴퓨터와 통신할 수 있게 됩니다. 인터넷 망은 수많은 노드들과 규칙들로 복잡하게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복잡한 규칙 속에서 어떻게 안전하게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걸까요 ? 이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IP(..
·회고
안녕하세요 👋🏻이번 방학 동안 인턴, 연합 동아리 등 다양한 곳에 지원서를 넣으면서 공부한 내용을 기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그리고 자소서를 쓰면서 정말 글 쓰는 능력이 많이 부족하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 살짝 늦은 감이 없지 않아 있지만 (현재 대학교 4학년입니다,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늦.. 빠르다는 말이 있자나요 ㅎㅎ), 지금부터라도 열심히 기록해 보려고 합니다. 지난 날의 반성 🥲작년 여름방학, 영한님의 자바 강의를 들으며 공부했던 내용을 기록했습니다.사실 .. 공부한 내용을 기록했다기보단, 강의 자료를 뺏겼다고 하는 게 더 맞는 말인 것 같네요 ! 하하이런 잘못된 방식으로 기록하다 보니 (당연히) 문제점이 생겼습니다. 1. 정말 이해가 되었는지 확인하기 어렵..
·Java
'김영한의 실전 자바' 강의를 보고 정리하였습니다.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 1 - 시작프로그래밍 방식은 크게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과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으로 나눌 수 있다.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절차 지향 프로그래밍은 이름 그대로 절차를 지향한다. 쉽게 말해서 실행 순서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방식이다.절차 지향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램의 흐름을 순차적으로 따르며 처리하는 방식이다. 즉, "어떻게"를 중심으로 프로그래밍 한다.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이름 그대로 객체를 지향한다. 쉽게 말해서 객체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방식이다.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실제 세계의 사물이나 사건을 객체로 보고, 이러한 객체들 간의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프로그래밍 하는 방식이다. 즉, "무엇을" 중심으로 프로그래밍 한다...
·Java
'김영한의 실전 자바' 강의를 보고 정리하였습니다.   참조형 변수에는 항상 객체가 있는 위치를 가리키는 참조값이 들어간다. 그런데 아직 가리키는 대상이 없거나, 가리키는 대상을 나중에 입력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할까? null 참조형 변수에서 아직 가리키는 대상이 없다면 null이라는 특별한 값을 넣어둘 수 있다. null은 값이 존재하지 않는, 없다는 뜻이다.public class NullMain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ata data = null; System.out.println("1. data = " + data); data = new Data(); System.out.println(..
·Java
'김영한의 실전 자바' 강의를 보고 정리하였습니다. 변수와 초기화변수의 종류멤버 변수(필드): 클래스에 선언지역 변수: 메서드에 선언 (매개변수도 지역 변수의 한 종류)멤버 변수, 필드 예시public class Student { String name; int age; int grade;}Student 클래스 내에 선언 name, age, grade 👉🏻 멤버 변수 지역 변수 예시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udent student1; student1 = new Student(); Student student2 = new Student();}main() 메서드 내에 선언student1, student..
·Java
'김영한의 실전 자바' 강의를 보고 정리하였습니다. 기본형 vs 참조형기본형(Primitive Type)변수에 사용할 값을 직접 넣을 수 있는 데이터 타입ex) int, long, double, boolean 등 👉🏻 소문자로 시작 !실제 사용하는 값을 변수에 담아 사용할 수 있다.기본형은 개발자가 새로 정의할 수 없다. 참조형(Reference Type)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참조(주소)를 저장하는 데이터 타입 ex) Student student1, int[ ] students 등 👉🏻 객체 또는 배열에 사용실제 사용하는 값을 변수에 바로 담는 것 ❌, 실제 객체의 위치(참조, 주소)를 저장한다.객체는 . (dot)을 통해서 메모리 상에 생성된 객체를 찾아가야 사용할 수 있다.배열은 [ ]을 통..